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 고용장려금 기업 채용 가이드 [2025년 6월]

by twindads 2025. 6. 12.

 

✅ 1. 정책 핵심 요약 

  • 정식명칭: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
  • 대상 기업: 5인 이상 우선지원기업(제조·보건·물류 등 지정업종 포함)
  • 지원금: 정규직 청년 1인당 월 최대 60만 원, 최대 720만 원 1년 지원
  • 인센티브: 18·24개월 근속 시 추가 지급 240만 원 + 240만 원
  • 창업기업·스타트업 참여 확대 (2025년 신규 반영)
  • 기업 신청 시점: 채용 후 3개월 이내 신청 필수

🎯 2. 2025년 6월 현재 새롭게 강화된 핵심 변화

➕ A. 스타트업·창업기업 우대 반영

기존 5인 이상 제조·보건 등 ‘빈 일자리 업종’ 중심에서, 2025년 하반기부터는 사업연도 3년 이하 벤처·스타트업 중 최소 3인 이상 채용 시 지원 대상 확대. 젊고 유연한 기업 유치 전략의 일환입니다.

➕ B. 디지털 전환형 채용 패키지 신설

AI·빅데이터 인력 채용 시, 고용장려금 일반 지원 외에 채용당시 온보딩·교육비용 명목으로 최대 50만 원 추가 수령 가능. 기업 만족도 조사 3개월 후 설문 인정 시 지급 확정.

➕ C. 청년부담금 없는 ‘퇴사환급보장’ 도입

장기 근속 도중 퇴사할 경우, 이미 지급된 장려금을 일부 반환해야 했으나, 45일 이상 근속하면 전액 면제. 근속기간 기준 예외 유예 최초 적용 사례입니다.

📌 3. 신청 절차 & 실제 서류 가이드

  1. 고용24(워크넷) 회원가입 / 사업자 인증
  2. 채용계획서 제출: 청년 채용 목표, 직무명, 근로조건 등 명시
  3. 입사 3개월 내 참여신청
  4. 분할지급 구조:
    • 매월 말 정산 → 최대 60만원 * 12개월
    • 18/24개월 경과 시 인센티브 자동 정산

2025년 팁: 채용 직후 AI·디지털 직무 명시하면 자동으로 교육비용 지원 대상 지정

 

💡 4. 성공사례: A 스타트업 채용 전략

  • 기업: 설립 2년차 IT 스타트업, 직원 7명
  • 채용 대상: AI 개발 경력 1년 이하 청년 2명 신규 채용
  • 절차:
    • ‘디지털 전환형’ 패키지로 동일 직무 50만 원 추가 확보
    • 입사 후 3개월 근속 → 장려금 지불 면제
    • 18개월 근속 완료 시 240만 원 인센티브 + 교육비 50만 원 추가 지급 → 총 1인당 1,010만 원 수령

기업 담당자는 “최소 직원 1명 급여 수준을 보전받은 수준”이라며 크게 만족함✅ 5. 유의사항 (반드시 체크!)

  • 퇴사 환급 기준: 45일 이상 근속 후 퇴사 시, 인센티브 전액 환급 면제
  • 채용 후 3개월 이내 신청 필수
  • 디지털 전환 교육 인증 제출: 1~3개월 내 후기 제출 안 할 시 해당 인센티브 회수 가능

지정 업종 여부 확인: 업종 변경 전후 채용 계획서서 반드시 검토 필요 (고용24 제공 업종코드 확인 필수)

 

📊 5. 비교 요약 (표 형태)

항목 기존 2025년 6월 현행
지원 대상 업종 제조·건설·조선·보건·물류 등 + 스타트업·벤처기업 (3년차 이하, 3명 이상)
디지털 인력 지원 없음 AI·빅데이터 직무 온보딩비 50만 원 추가
인센티브 지급 18·24개월만 지급 동일
퇴사환급 기준 전액 환수 45일 이상 근속할 경우 전액 면제
신청기간 채용 후 3개월 이내 동일

 

🧭 결론 & 기업 전략 팁

  • 2025년 하반기부터 스타트업, AI·디지털 직군 중심으로 지원 범위 대폭 확대
  • 채용 초기 전략 수립 시, ‘디지털 전환형 옵션’ 포함 여부 반드시 점검
  • 장기 근속 유도를 위해 퇴사환급면제 기준 확인 꼭 필요